주식 이야기

주식이야기 16) 복리의 마법이 적용 되는 곳

Trader one 2023. 11. 16. 23:34
728x90
반응형
SMALL

 

 

 

 

 

 

 

반갑습니다. Trader one 입니다

 

 

 

 

 

 

 

 

 

 

은행권가서 복리가 있는 적*예금 통장을 본적 이 있나요? 

 

 

 

아마 찾기가 힘듭니다.(증권사 쪽 잘 찾아보면 있어요 - 자세한건 투자자문사 문의 하세요)

 

 

 

복리가 된다고 하더라도 이율이 일반 예금에 50%이하가 많을 겁니다.(은행이 호구가 아니니 뭘 하든 이윤을 남기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투자자 X가

주식 특정 종목 A를 주가 10,000₩에 100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주식 종목이 1% 상승을 했습니다.

 

그리고 다음날에 또 1%상승했습니다.

 

그렇다면 이종목의 주가는 10,210₩입니다.-> 102만 2천원

 

 

 

 

 

 

 

 

가정-

단리로 10,000₩에서 日이율이 1%인데, 1% ,1% 씩 상승하면 이틀 뒤 가치는 102만원 입니다.

 

 

 

 

 

복리 단리 공식은 웹서핑 하면 나오니 따로 참고 해주세요

 

 

 

 

 

 

 

 

 

 

 

 

 

 

 


가정-



특정 주식 'A'가 1%상승을 보였습니다.



누군가는 1억을 벌 것이고 누군가는 백만원을 벌고 누군가는 10만원을 법니다.(SEED 관련)-(투자한 금액의 크기에 따라서)-



반대로, 특정 주식 'A'가 1%하락을 보였습니다.



그렇다면 누군가는 1억을 잃을 것이고 누군가는 백만원을 잃고 누군가는 10만원을 법니다.

 

시드관련 이야기를 한 이유는  1%씩 복리로 주식 종목이 상승만 한다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합니다. 그래서 

투자한 종목이 10,000₩에서 15,000₩으로 50% 수익을 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가정합니다.(전일거래일 기준) 그런데  당일 1%가 하락을 한다면 실제 투자 금액에서는 -1.5 %손실을 보게 됩니다.  손실에도 복리의 마법이 적용이 되기 떄문에 익절도 중요하고 자산의 리스크 관리 능력이 중요합니다. (아래 링크 참조)

 

 

 

 

 

 

 

 

 

 

번외로) 다른 글에 남긴게 있는데 미국증시 호가는 한국이 센티미터 단위라면 거기는 마이크로 단위 입니다. 그래서 

수급에의한 등락이 낮은 편, 그래서 기업 밸류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많아요.(다른 조건들이 많지만 호가 애기 하자면.)

 

 

 

 

 

 

 

금융권에서는 항상 돈이 많은 것을 좋아합니다. 시드가 많을수록 보다 안전하면서 돈을 관리하는 방법들이 많기 때문에 ,(리스크 관련 글 참고)

(초빼이가 파생한다고 고객돈 가지고 연습삼아 굴리다가 날려먹고 언론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뭐든 경험이 중요함, 금융권은 특히나, 최근AI가 뺐을 수 있는 직종에 펀드매니저도 언급되는 것 같지만 장담하건대 절대 안뺏깁니다.)

 

 

 

 

 

 

 

 

 

 

 

 

 

From) Trader one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