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Trader one 입니다.
이 글은 스윙투자자들을 위한 글 입니다.
여러분들은 리스크가 큰지 낮은지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분 들인가요? (주식을 하는 분들을 위한 실질적인 글이니 잘 판단하시고 깊게 보시기 바랍니다. - 원래 글 대충 쓰는 것도 있지만 신경썼어유.)-(증시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분들을 위한 이야기 입니다. 일반 투자자들을 위한 글이 아닙니다.-장기 투자자x)
예를 한번 들어 보겠습니다.
현재 날짜는 한국 날짜로-2023.11.03 입니다.
투자자 'A'씨는 11월 10일에 미국 파월의장이 금리를 인상을 할 것인가, 하지 않을 것인가 언급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일반적인 종목 'X','Y','Z'들을 가지고 있는 'A'씨는 주식을 팔아야 할까요? 가지고 가야 될까요.?
11월 10일 이후 세계 경제가 비둘기 의장 말 한마디에 급격하게 변하게 될 것입니다.(비둘기 말 조심 하세요.-)
11월 10일 까지 주식에 투자한 종목들을 가지고 가게 된다면 RISK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매도를 한다면 종목이 수익을 보고 있다고 한다면 좋겠지만 아니라면 손실을 보고 팔아야 하는
결정을 해야 됩니다.
(더 깊은 내용들은 전문 투자 자문사에서 듣기를.)
리스크가 있다 없다 판단하는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파월 의장이 금리를 인상 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한국 증시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요? 저는 주식을 하는 사람들을 위한 글을 쓰는 사람이라서 항상 한국 증시에 악재인지 호재인지 파악을 합니다.
경제에 정답이라는 것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지만,
금리 인상이 된다?-(단순 경제지식으로 보았을 때) 그렇다면 일반 투자자들 관점에서는 수익을 볼지도 말지도 모르는 주식을 사는 것보다는 은행을 방문해서 예금 또는 적금을 드는 것이 보다 좋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증권시장에서 돈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증시에는 악재일 것입니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들은 리스크가 있는지 없는지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시고 즐겁게 투자 할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바랍니다.
주식은 정직합니다. 리스크가 큰 것을 알고 가지고, 좋은 이야기가 들린다면 파란불에서 빨간불로 바뀌는 행운을 누릴 수도 있습니다.
FROM) Trader one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이야기 17) SWING 투자 간단 비법(1) (0) | 2023.11.18 |
---|---|
주식이야기 16) 복리의 마법이 적용 되는 곳 (0) | 2023.11.16 |
주식이야기 14) 2023年 변동된 증시 관련 (0) | 2023.07.15 |
주식 이야기 13) 상한가에서의 딜레마 (1) | 2023.04.09 |
주식이야기 12) 투자 주체 (0) | 202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