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이야기

주식 이야기 19) 가치투자의 찬반 의견

Trader one 2024. 1. 23. 23:57
728x90
반응형
SMALL

 

 

 

 

 

화면용 차트

 

 

 

 

 

 

 

반갑습니다 Trader one 입니다. 

 

 

 

 

 

 

 

 

 

 

 

 

 

 

 

가치 투자 찬성 의견-

 

 

 

 

 

최근 홍콩 ELS 관련 사태가 금융권에 이슈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은행권은 이자장사로 먹고 산다고 합니다. 그러나 지점 영업의 한계 등,  여러가지 행원들의 업무능력의 변별력과 파생상품의 유동성 확보 등 여러가지 이유로 ELS 상품을 권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상품들의 본질 자체도 채권(거의 신용리스크를 제외한다면 확정수익수준-글쓴이 주관)과 주식(상장 주식이 부도나지 않는다면 손실을 입을 수도 있지만 고수익 가능-글쓴이 주관)을 혼합한 상품입니다.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확정수익과 손실을 입을 수도 있지만 고수익이 가능한 주식을 같이 관리 한다는 것에 있습니다.

 

 

 

 

 

 

 

 

일반 투자자들은 투자에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투자자들이 할 수 있는 방법들로 투자를 해야합니다.

 

 

 

 

 

 

간단한 예시) 높은 금리를 주는 예금과 적금을 들고 주식을  몇 주 사 놓는 것.

 

 

 

 

주식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보통 이렇게 투자를 합니다.(일반적으로 소소한 행복을 느끼는 수준의 투자-나쁘지 않아요)

 

 

 

 

 

 

 

 

 

 

그러나 어느 정도 자신이 생기고 어중간하게 배워서 한다면, 주식 고수익의 메리트에 빠지게 됩니다.

 

 

 

그래서 예적금 비중과 주식 비중에서 주식 종목 비중을 너무 크게 하면 스트레스 많이 받는 경우가 다반사 입니다.

 

 

 

 

 

 

 

 

 

 

 

가치 투자 반대 의견-

 

 

 

가치투자와 관련한 이야기를,

색다른 방법으로 표현을 한다면

 

 

 

어떻게 보면 혁신의 상징 테슬라 경영자 -'일론 머스크'와

 

가치투자자의 대명사 -'워렌 버핏'이 있습니다.

 

 

 

 

 

 

일론 머스크는 투자성향이 과감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테슬라를 미국의 기업 시총 상위 기업으로 올려 놓았지만 코인투자자들에게 욕도 많이 듣고 환호도 많이 받습니다.(젊은 나이)

 

 

 

워렌버핏은 투자성향이 안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습니다.(어르신 나이)

 

 

 

 

 

 

 

 

 

가치투자(장기 투자)는 안정적입니다. 그래서 가치투자관련한 책들이 시중에 많이 나오고 가치투자관련 책이 팽배 합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러한 투자자들의 80%이상은 주식 종목을 사놓고 물려서 몇년 뒤에 손실을 만회하고 손익 분기점에서 조금 수익을 보고 팔게 됩니다. 시간을 가지고 스트레스를 몇년 받고는 물가 상승률 상승분의 수익을 얻고 주식을 팝니다.(국내 주식 투자자의 경우)

 

그렇다면 실질 화폐가치를 생각한다면 수익을 본게 없고 스트레스만 받는 것. 그러나 이것도 만회 할 수 있다면 다

행입니다. (본인 자본으로 하는 경우)

 

 

 

 

 

 

 

 

 

 

 

 

 

 

 

 

 

 

※번외로) 주식하면서 손실을 무조건 보기 싫고 스트레스 받기 싫은 분, 안정적인 것을 선호하는 투자성향을 가진 일반투자자들을 위한 투자 방법 하나를 소개 드립니다.

 

예*적금 이자로 얻은 수익, 직장에서 일한다면 상여금, 공짜돈이라고 생각하는 돈으로 주식하시면 됩니다. 또한, 국내 주식들은 배당을 삼성전자(外분기배당주)를 제외하고는 연말기준으로 다음해 2,3월에 대부분 주기 때문에 이러한 돈(배당금),

 

 

 

 

 

 

 

 

 

 

배당 관련 투자-한가지 예시) 고배당주라고 소개하는 종목들 몇가지가 있습니다.(고배당주라고 소개하는 종목들은 대부분 안전한 종목 多)

 

'A'라는 종목을 주가가 5만원 일때 연말에 매수합니다. 배당금은 4~5%라고 합니다. 그리고 연말이 지난 후에 다시 'A'종목이 5만 200원이 되면 팝니다.(세금 수수료 떼서-대주주는 다름) 그리고 그 배당금으로 투자. 그러나 한계가 배당금이 국내 주식들은 예적금 이자수준에서 조금 더 주는 수준.)-일반적으로 리스크가 낮다면 그만큼 수익이 크지 않은게 많기 때문.

 

 

해외주식들은 배당 많은 섹터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런 종목들 관심 가지셔도 좋습니다.

 

 

 

 

 

 

 

 

 

 

 

 

 

 

 

 

 

 

 

 

 

 

 

From) Trader one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