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습니다 Trader one 입니다.
가격 가중방식, 시가총액 가중방식 네이버 웹서핑하고 글 보세요
친구, 지인 들 만나서 가끔씩 묻게 됩니다.
경기가 현재 좋은거 같는냐?
경기가 현재 좋지 못 한 거 같는냐?
------------------------------------------------------------------------------------------------------------------------
주식하는 분들은 장이 좋은 것일까?
장이 좋지 않은 것 일까?
이런 부분들은 어떻게 보면 추상적이고 감각적인 것입니다.
그렇게 때문에 보통은 데이타, 여러가지 기존에 분석할만한 자료들을 가지고 내밉니다.
예를 들어(=ex)
1)오늘은 코스피가 올라가고 있기 때문에 시황이 좋다.
또는 2)코스닥이 올라가서 시황이 좋다.
3)미국 파월의장이 금리를 인하 했다. 그렇다면 국채보다는 주식장으로 수요가 조금 더 이동할 것이다.
등등
이러한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결국 주식하는 분들이 돈을 벌기 위함과 주식 시황을 보는 방법들을 이야기 하기 위함입니다.
결국 지수(인덱스)가 있고 지수안에서 여러 섹터들이 있습니다.
kospi가 올라서 코스피 안의 섹터들이 상승효과를 보았다. 맞는 소리일까요?->T.D(Top Down)
코스피 안의 섹터들이 상승해서 인덱스 kospi가 상승효과를 보았다 맞는 소리일까요?B.U(Bottom Up)
ETF(은행권),ETN(증권사)상장펀드&증권 -지수 펀드와 여러가지 금융사들의 암암리에 여러가지 자산운용들의 영향을 받아서 지수가 움직입니다.
이러한 영향들.
(한국금융서적에서는 보통 탑 다운으로 가르쳐줘요.-)
바텁 업을 이야기 한다면 삼성전자가 코스피지수의 1/4~1/5 시가총액을 차지합니다.(한 3년전에 계산해봤어요-요새는 다르겠지만 얼추 맞아요)
삼성전자가 주가가 올라서 코스피가 올랐다 맞아보입니다. 그럴 수 있을 거 같구요.
그러나 거래소 소형주가 주가가 올랐다. (코스피지수의 시가총액 1/100,000 수준 기업들) 그래서 코스피 지수가 올랐다. 시장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은 소형 섹터들이 오른다고 지수가 움직이지는 않겠죠.
바텁업을 이야기할 때 삼성전자와 대형 kospi30 섹터를 제외하고 언급을 한다면 보통 '바텀업은 맞지 않는 이야기다'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재미로 한가지 더 이야기 한다면 '나비효과'라고 들어 보셨나요.
나비 날개짓 한번에 태풍이 일어난다는 것을 나비 효과라고 합니다.
어떻게 보면 바텀업에 해당 사항이 있어보이는 문구입니다.
but,
보통은 기업의 파산, 도미노 이론, 연쇄 부도 등을 이야기 할 때 쓰는 문구라 바텀업과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추가 수정합니다 후에)
좋은 하루 보내세요-
From) Trader one
'주식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이야기 26) 저평가와 고평가 관련& 투심 (27) | 2024.10.12 |
---|---|
주식 이야기 25) 매수 관련 인문학- (14) | 2024.09.01 |
주식 이야기 21) 주식 &코인 밈(meme) 차트 관련 (1) | 2024.02.03 |
주식 이야기 20) 추세지표 MACD (3) | 2024.01.29 |
주식 이야기 19) 가치투자의 찬반 의견 (0) | 2024.01.23 |